'먹선/데칼/마감'에 해당되는 글 3건
- 2018.10.03 RG ZGMF-X10A 프리덤 4
- 2018.10.01 RG ZGMF-X10A 프리덤 먹선 데칼 마감 작업기
- 2012.03.24 RG GAT-X105 엘 스트라이크 건담 제작기 #3 - 먹선/데칼/마감 8
ET 표시는 소속함인 이터널(Eternal)을 나타냅니다.
반다이에서 왜 그랬는지 모르겠는데, 1/144 RG 프리덤의 빔 사벨 용으로 1/100 MG 프리덤 용 클리어 부품을 넣어줘서 무지 깁니다.
SEED 시리즈에서는 무기에도 각각 이름을 붙여놓았는데요, 특이하게도 그 이름들은 모두 동물의 학명(学名, scientific name)입니다.
날개의 빔 캐논은 발라에나(Balaena, 북극고래속), 허리춤의 레일 건은 크시피아스(Xiphias, 황새치속) 같은 식입니다.
SEED 원작자 중에 누군가 생물학 전공자가 있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플라스틱 특유의 투명감이 느껴진다든지 도색 안 한 티가 약간 나긴 하지만,
그렇지만 RG가 그 조그만 킷에 패널라인도 오밀조밀 많고 데칼도 상당히 많아서 먹선/데칼 작업이 생각보다 시간이 꽤 많이 들었네요.
RG 프리덤 작업기 바로 가기
|
'건프라 (건담 프라모델) > 건프라 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CS MSZ-006 Zeta Gundam 완성 (0) | 2018.12.26 |
---|---|
RG MSN-04 Sazabi 완성 (4) | 2018.11.06 |
레전드BB 나이트 건담 완성 (14) | 2012.07.15 |
RG GAT-X105 엘 스트라이크 건담 완성 (22) | 2012.06.04 |
HGUC RMS-099 릭 디아스 완성 (14) | 2010.05.17 |
최근 5~6년간 이래저래 생업도 바쁘고 다른 취미에 신경 쓰다 보니 건프라 작업에 손을 못 대고 있었습니다.
신상들 나오면 그나마 조립은 틈틈이 하고 있었습니다만... 최근에는 그 조차도 전혀ㅠㅜ
최근 아들내미 학교 과제 때문에 먼지만 쌓이던 컴프레서와 에어브러시를 다시 잡은 관계로 건프라도 다시 해보려고 집어들었습니다.
도색하다가 중단한 킷들도 여럿 있지만, 오랫동안 손 뗐던 도색작업을 다시 시작하기엔 벌여야 할 일의 규모가 커서 엄두가 안 나고...
그냥 도색 없이 먹선/데칼/마감만으로 완성하고 치우려고요.
PG나 MG 같은 비싼 킷들은 풀도색을 안 하면 왠지 킷에게 미안하고...
HG는 색분할도 불완전하고 디테일이 밋밋해서 먹선마감만으로는 허전하고...
가격 부담으로 보나 색분할과 디테일 면으로 보나 RG가 도색 안 하고 먹선/데칼/마감으로 끝내기에 딱 좋겠더라고요.
SEED는 제가 두번째로 좋아하는 건담 시리즈인데(첫번째는 제타 건담) 그 주역 기체 중 하나인 프리덤을 아직 완성해본 적이 없네요.
사실은 얘도 작업하다가 한 3년 손 놓고 있었습니다.
정말 먹선 데칼 마감만 하려고 했는데, 눈에 밟히는 부분들이 몇 군데 있어서 가공을 조금 해줬습니다.
일단 뿔은 좀더 뾰족하게 갈았고요.
RG가 워낙 작다보니 너무 갈면 부러질까봐 적당히 뾰족해진 선에서 만족하기로 했습니다.
가슴의 기관포? 센서?가 막혀있어서 장난감 티가 좀 나는데, 핀바이스로 좀 더 깊이 파줬습니다.
등짐의 빔 캐논도 막혀 있는데 그렇다고 뚫으면 속이 비쳐보여서 더 장난감 같아지니 뚫지 않고 안쪽을 무광검정으로 도색했습니다.
어드밴스드 MS 조인트는 공정 상 ABS 재질 부분의 게이트를 사출기에서 힘으로 뜯어내버리나 본데요.
게이트 자국이 깊은 데다가 색상도 검어서 특히 눈에 더 띄더군요.
이 빨간 부품처럼 너무 확연히 수축 싱크마크가 눈에 띄는 부품들은 사포질로 갈아서 평평하게 정리해줬습니다.
그리고 풀도색이었다면 그냥 도료로 덮어버려도 되었을 프라 표면의 물결무늬(웰드 라인)도 사포질로 정리했습니다.
먹선/데칼/마감 작업이라 가급적 에어브러시는 안 잡으려 했는데, 제아무리 색분할이 잘 된 RG라지만 클리어 부품은 어쩔 수가 없죠.
메탈릭 도료 위에 형광 클리어 도료로 부분도색 해줬습니다.
SMP 수퍼 파인 알루미늄을 먼저 칠해줬고요.
눈은 그 위에 가이아노츠 형광 옐로우를 올려줬고, 이마 카메라와 라이플 조준경은 가이아노츠 형광 블루를 썼습니다.
라이플 조준경 중앙의 가로 막대는 렌즈 부위 마스킹 후 저먼 그레이 에너멜을 뿌려줬습니다.
조준경 도색은 좀 실수를 하긴 했지만 오랜만에 이런 작업을 해보니 재밌네요^^
카메라 아이 같은 부분의 표현으로 메탈릭 위에 형광 클리어는 처음 시도해 보는 조합인데 예상보다 효과가 괜찮습니다.
사진으로는 지저분해 보이지만 실물로 보면 꽤나 그럴듯합니다.
이제 먹선을 넣어줄 차례인데 패널 라인이 좀 너무 흐릿하더군요.
그렇다고 패널 라인을 정성스레 다 깊이 파주자니 RG 그 조그만 것이 패널 라인은 또 무지 많잖아요?
도색을 전제로 할 경우 패널 라인 파다가 삐끗 실수하더라도 어떻게든 감출 수 있겠지만
무도색으로 하려니 패널 라인 파주기 작업의 리스크가 너무 커서 생략했습니다.
먹선은 타미야 패널 라인 액센트 컬러로 흘려넣었고요.
흰색 바탕엔 회색 패널 라인 액센트 컬러를, 노란색과 빨간색 바탕에는 갈색, 그 외에는 검정색으로 넣었습니다.
삐져나온 부분은 가이아노츠 피니시 마스터에 에나멜 신너를 찍어서 지워줬습니다.
먹선작업 후 지저분해진 표면을 닦는 데는 연필지우개가 괜찮다는 제보를 받아서 시도해 보니 정말로 좀더 깨끗해지는 느낌이었고요.
RG는 역시 패널 라인이 좀 과한 면이 없지 않네요.
먹선 작업에만 하루에 한두 시간씩 꼬박 일주일 걸렸습니다.
저도 패널 라인 좋아하는 편이지만 RG의 패널 라인 밀도는 제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수준보다도 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데칼은 킷에 동봉된 테트론 재질의 리얼리스틱 데칼 대신에 모델링홀릭 습식데칼을 사용했습니다.
패널 라인이 워낙 많다 보니 크기가 큰 마킹 데칼의 경우 패널 라인에 걸쳐있는 일이 종종 있습니다.
그런 부분은 데칼에 마크 소프터를 발라 패널 라인의 굴곡에 밀착시킨 후에 패널 라인을 따라 아트 나이프로 데칼을 재단해줬습니다.
마감은 가이아노츠 EX 플랫 클리어로 무광마감했는데요.
어드밴스드 MS 조인트의 폴리 프로필렌 재질 부분은 도료나 마감제가 잘 안 먹습니다.
그래서 피니셔즈 멀티 프라이머를 일단 뿌려준 후에 무광 마감제를 올렸고요.
가조립만 하다가 데칼이 예쁘게 올라간 무광무광한^^ 표면의 느낌을 참 오랜만에 느껴보는데, 왠지 뿌듯하면서 각별하더군요.
투자 대비 효율만 놓고 비교하자면 모형 키트를 조립하고 개조하고 도색하는 것보다
중국 아줌마 장인^^의 손으로 완성된 완성품을 구입하는 게 훨씬 효율적이죠.
하지만 뭔가 나의 노력을 통해 건프라가 차근차근 완성돼가는 재미와 결과물에 대한 보람? 이런 맛에 모형 제작을 하는 것 같습니다.
풀 도색도 아니고 기본적인 먹선 데칼 마감 작업이었지만, 오랜만에 해보니 좋네요.
RG 프리덤 작업기 바로 가기
|
'건프라 (건담 프라모델) > 건프라 제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RG MSN-04 Sazabi 제작기 #2 - 도색 (10) | 2018.11.01 |
---|---|
RG MSN-04 Sazabi 제작기 #1 - 개수 및 디테일 업 (0) | 2018.10.16 |
어와나 그랑 프리 (Awana Grand Prix) 자동차 제작 (0) | 2018.10.01 |
MG RX-0 유니콘 건담 2호기 밴시 제작기 #1 - 표면정리 (8) | 2012.08.02 |
레전드BB 나이트 건담 제작기 #2 - 도색 (14) | 2012.07.12 |
RG GAT-X105 엘 스트라이크 건담 제작기 #3 - 먹선/데칼/마감

그놈의 파이널 판타지 13-2 한다고 또 몇 주간 방치했다가 돌아왔습니다^^
우선 먹선 작업입니다만, 표면정리 때 미리 패널 라인 등 먹선 넣을 부분을 깊숙히 파준 관계로 수월하게 넣을 수 있었습니다.
수월하다곤 해도 워낙 패널 라인이 많은 Real Grade인지라 정말 오래 걸렸네요ㅜㅜ
한가지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RG 킷이 사이즈가 더 큰 MG보다도 먹선 작업량이 (훨씬ㅠㅠ) 더 많다는 것입니다.
이름 하여 패널 라인 액센트 컬러(Panel Line Accent Color)!
기술적으로 대단한 물건은 아니지만...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제품이랄까요?
에나멜 먹선작업에 안성맞춤인 제품입니다.
에나멜 도료 원액 : 신너 비율을 1 : 5~10 정도로 묽게 희석하여 패널라인 일부에 붓으로 콕 찍어줍니다.
그러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저절로 전체 패널 라인에 쪽쪽 퍼져나가주죠(요거 보고 있으면 상당히 쾌감이 있다는^^).
그리고 건조된 후에 붓자국과 삐져나온 자국 등을 신너로 살짝 지워주면 패널라인 먹선이 완성됩니다.
특히 희석 농도는 너무 진하면 먹선이 잘 안 퍼지고, 너무 연하면 패널 라인의 색상 균일성이 떨어져서, 나름 까다롭게 맞춰야 하는데...
보통 먹선 용으로는 에나멜을 코딱지만큼밖에 안 쓰니까 도료와 신너의 양을 계량하기도 힘들고 농도 맞추기가 참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이 패널 라인 액센트 컬러는 이미 패널 라인 먹선 넣기에 적절한 농도로 희석되어 있어서 농도 잘못 맞출 걱정도 없고,
병에 붓까지 달려있어서 쓰기도 편하고, 보관도 편하고, 세척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것도 딱 제가 자주 쓰는 색깔 별로 그레이, 블랙, 브라운의 3종이 출시돼 주었습니다.
RG 엘 스트라이크 작업에서는 세 가지 색을 각각 다음과 같이 부위 별로 적용했지요.
- 그레이 : 흰색 장갑 부분
- 브라운 : 붉은색, 노란색 장갑 부분
- 블랙 : 파란색 장갑, 회색 프레임 부분
저는 처음에 Panel Line Accent Color 그레이의 색이 너무 밝아서 걱정 했습니다.
내부 프레임 색이 화이트 : 블랙 = 2 : 1로 섞은 밝은 회색인데, 그보다도 더 밝고, 거의 서페이서의 색과 맞먹을 수준의 밝은 회색입니다.
그런데 이게 실제로 먹선을 넣어놓고 보니 또 꽤 괜찮고 잘 어울리더군요.
그래서 ☞먹선이 검정색이 아닌 더 흐린 색이 잘 어울리는 이유☜에 관해 생각하고 정리해봤습니다.
저처럼 먹선 색상에 대해 고뇌^^해보신 적 있는 분이라면 링크의 글을 한 번 읽어보시길...아무튼 먹선은 잘 일단락되었고요. 문제는 데칼인데...
RG 엘 스트라이크가 발매된 지 1년이 다 되어가고, 소드/런처 스트라이커 팩까지 발매됐는데도 불구하고
아직 RG 스트라이크 용 반다이 제 습식 건담데칼은 발매 예정조차 안 잡혀 있습니다.
걱정 되는 건 RG 스트라이크 데칼뿐만 아니고 별매 건담 데칼이라는 시리즈 자체가 재작년말 이후로 1년 넘게 신제품 소식이 없다는 겁니다.
그나마 최근에 건담 데칼 DX라는 한정판 소식이 들려왔지만... 알고 보니 그냥 예전 데칼들을 크게 한 장에 모은 것뿐이더라고요.
1년 전의 동일본대지진으로 반다이의 별매 습식 데칼 신제품 설계 부서가 피해라도 입은 걸까요?
아니면 건담 데칼이 잘 안 팔리니깐 이제부턴 일반 판매 안 하고 한정판 장난질을 치겠다는 걸까요-_-?
아무튼 RG 스트라이크 건담 데칼이 안 나온다고 작업을 중단하고 데칼 나오기만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건 영 성격에 안 맞고...
조사를 좀 해봤더니 작년 11월에 모델링홀릭 카페의 '칠식이' 반찬식님께서 RG 스트라이크 데칼을 만들어서 판매하셨더라고요.
연락을 드려보니 시간이 좀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재고가 있다고 하셔서 급히 공수해왔습니다.
데칼링은 기본적으로 설명서를 따르되, 일부는 PG 스트라이크를 흉내내어 다르게 붙이거나, 다른 위치에 붙인 것들도 있습니다.
Cinque(칭퀘)란 스트라이크의 형식 번호인 GAT-X105의 마지막 숫자 '5'의 이탈리아어 표기입니다.
귀찮아서RG 같은 작은 스케일에는 안 어울릴 것 같아서 생략했습니다.
수퍼 아이언 실버로 도색한 어드밴스트 MS 조인트(AMSJ)의 마감은 유광 우레탄 클리어로 했는데요.
역시 우려했던 바대로 가동시에 까지는 관절 부분도 있고(팔꿈치 관절),
가동부분이 너무 빡빡해서 관절이 빠지기도 하더군요(허벅지 장갑 연동 부분)ㅜㅜ
다음번에 AMSJ를 도색할 때는 좀더 신경써야겠습니다.
AMSJ는 그냥 1차 도색까지만 하고 마감제는 안 뿌리는 게 더 나을 것 같기도 하네요.
아 그런데 이번엔 SMP 무광 우레탄 클리어의 보존기간이 오래 돼서 그런지 칠하면서 트러블이 많았습니다.
에어브러시 노즐이 막힌다거나 부품 표면에 이따만한 알갱이가 박힌다거나...
SMP 제품들 싼 맛에 잘 써왔는데, 가끔씩 이렇게 트러블이 발생하곤 하면 정신적 비용이 더 크죠-_-
그리고 요즘은 가격도 올라서 안 쌉니다. 15ml 도료가 SMP는 현재 2100원 하는데, 가이아노츠는 일본에서 보통 160엔이면 사니깐 비슷합니다.
맘 같아선 쓰던 SMP 제품들 다 퇴출시켜버리고 싶습니다만... 딱히 대안이 없네요.
가이아노츠나 피니셔즈 도료 제품들은 국내에선 구하기가 힘들고...
GSI크레오스 제품들은 성능도 별로 안 좋으면서 가격만 비싸고...
E5라든지 다른 국내 도료업체들은 SMP 이상 못 미덥고...
무광 마감제로 가이아노츠 EX 플랫 클리어를 사고 싶어도 국내 판매점은 모두 품절이고요.
피니셔즈 수퍼 플랫 코트도 사고 싶지만 K모샵에서 20cc짜리가 18,260원이라니...
나중에 가이아노츠와 피니셔즈 제품 해외구매라도 한 판 뛰어야겠습니다.
'건프라 (건담 프라모델) > 건프라 제작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전드BB 나이트 건담 제작기 #2 - 도색 (14) | 2012.07.12 |
---|---|
레전드BB 나이트 건담 제작기 #1 - 골다공증과 접합선 수정 (17) | 2012.06.14 |
RG GAT-X105 엘 스트라이크 건담 제작기 #2 - 도색 (8) | 2012.01.22 |
RG GAT-X105 엘 스트라이크 건담 제작기 #1 - 사포질 (4) | 2011.05.14 |
1/100 스트라이크 제타 건담 제작기 #5 - 도색 (2010년) (10) | 2011.04.27 |